본문 바로가기

독성학

[약 분석] 데이트 강간 약물(플루니트라제팜, flunitrazepam)

이번 여름방학 탐구 주제로 이걸 했었는데 한 번 올려봐요..!! 출처는 각주로 넣었습니다. 

 

*해당 내용은 전문 지식이 없는 중학생이 작성한 것입니다.

 


 

  Flunitrazepam은 최면수면제, 진정제, 항경련, 항불안, 골근육 이완제로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계통의 약물이다. 보통 플루니트라제팜은 만성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단기간 처방으로 나가거나, 입원 환자 같은 다른 수면제가 듣지 않는 경우에 처방된다.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약물은 중추신경의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와 결합하여 가바(gamma aminobutyric acid, GABA)라는 신경전달물질의 중추신경 억제성 기능을 강화시켜 항불안, 진정, 항경련, 근이완 효과를 나타내며, 급성 불안과 흥분을 조절하는데 있어 일차 선택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각주:1] 벤조디아제핀은 오남용의 위험이 있어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되어 있다. 치료용량이라 하더라도 장기간복용하면 정신적 의존뿐 아니라 신체적 의존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장기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과다 사용하면 졸리고 무기력해지며 혼수상태에 이를 수도 있다. 고용량으로 장기간 사용한 경우, 알코올이나 약물 남용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나 인격 장애가 동반된 경우 등에는 남용 가능성이 특히 높아진다. [각주:2] 벤조디아제핀은 시간이 경과하면 신경전도성의 평형상태가 변하면서 동일한 약리학적인 효과를 내기 위해서 더 많은 용량의 벤조디아제핀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용량을 계속적으로 증가시키면, 경련의 역치도 같이 증가하게 되므로 갑작스러운 약물의 중단은 해당 수용체에서 벤조디아제핀의 갑작스러운 유리를 유발하여, 반동성의 금단 증상 및 경련을 유발하게 된다. 이는 불면의 치료를 위한 벤조디아제핀의 장기적인 사용 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신경적응성의 변화이다.

 

  Flunitrazepam은 데이트 강간 사례에서 많이 이용되는 약물 중 하나인데, 실제로 케타민(마취제), GHB(중추신경 억제제, Gamma Hydroxy Butyrate·감마 히드록시 부티르산)와 더불어 3대 '데이트 강간 약물'로 불리고 있다. 실제 데이트 강간 사례에서는 보통 술(알코올)에 녹여 피해자에게 마시게 하는데, 술과 같이 복용할 시 그 부작용이 훨씬 더 강해지는 것으로 들어났다. 또한 대부분의 액체에 대한 용해도가 커 술과 섞었을 때 잘 검출되지도 않는다. 혈액 검사에서는 4 ng/ml의 농도에서 검출할 수 있고, 약물 배설 반감기는 11-25 시간이다. 투여용량과 어떻게 분석했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소변 검사에서는 대사산물이 60시간에서 28일 동안 검출될 수 있다. 머리카락과 침에서도 검출된다. 머리카락은 으레 그렇듯 소화되고 나서부터 가장 오랜 기간 동안 검출될 수 있는 기관이다. [각주:3] 경구투여 하였을 때 80% 정도가 반응을 일으키고, 좌약으로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50% 정도가 반응을 일으킨다. [각주:4] 반감기가 18-26시간이어서 다음날이 되어도 약효가 지속된다. [각주:5] 지용성이고 N-산화(N-oxidation)을 통해 간에서 대사된다. CYP3A4 효소와 CYP2C19 효소가 Phase Ⅰ 대사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효소이다. [각주:6]

 

  Flunitrazepam이 경구투여 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해당 약물은 소화기관으로 바로 이동한다. 소화기관에서 약은 순환계로 가지 않고 간문맥을 거쳐 간으로 이동한다. 간에서 그들은 초회통과효과(first-pass metabolism)을 거치지만 매우 적은 양만큼만 대사해 해독하게 된다. [각주:7] 또한 간은 '마약'보다 '술'을 먼저 분해하기 때문에 대사를 완전히 거칠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 후 약효가 순환계를 타고 온 몸을 돌면서 ‘분포’와 동시에 ‘흡수’된다. Flunitrazepam은 지용성이므로 수동확산 중 단순확산을 이용해 확산된다. 그 중 표적기관인 중추신경에 도달하면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와 결합해 가바의 중추신경 억제성 기능을 강화시켜 그 효과(수면, 항불안, 진정)를 만들어 낼 것이다. 혈액과 장기 곳곳에 분포하게 된 약물은 또다시 순환계를 타고 간으로 이동하여 수용화를 시키기 위한 대사가 진행된다. 이 때 대사는 CYP3A4 효소와 CYP2C19 효소와를 통한 N-산화이다. 이후 배설계, 호흡계를 통해 flunirazepam을 몸 밖에서 배출할 것이다.

 

  만약 Flunitrazepam을 이용한 데이트 강간 사건이 또 일어나게 된다면 체내 작용 원리를 감안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할 것이다. 약물의 반감기를 고려해 처치를 해야 할 것이며 약물을 검출하기 위해선 최대 60일 이전엔 빠르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벤조디아제핀계통 약물의 효과적인 해독방법으로는 짧은 반감기의 벤조디아제핀을 고용량으로 사용한 경우, 점진적으로 감량하면서 동일한 역가를 지니는 긴 반감기의 벤조디아제핀으로 교체하는 것이 있다 [각주:8] . 하지만 느린 대사를 조금 더 촉진시키는 방법에 관해 해독약을 연구해보는 방법도 있지 않을까 제언해본다.

 


 

 

  1.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Benzodiazepines drug profile. Page last updated January 8, 2015 [본문으로]
  2. Korea pharmasetical Information Center, drug encyclopedia [본문으로]
  3. Kiss, B et al. Assays for Flunitrazepam. Chapter 48 in Neuropathology of Drug Addictions and Substance Misuse Volume 2: Stimulants, Club and Dissociative Drugs, Hallucinogens, Steroids, Inhalants and International Aspects. Editor, Victor R. Preedy. Academic Press, 2016 ISBN 9780128003756 Page 513ff [본문으로]
  4. Cano J. P.; Soliva, M.; Hartmann, D.; Ziegler, W. H.; Amrein, R. (1977). "Bioavailability from various galenic formulations of flunitrazepam". Arzneimittelforschung. 27 (12): 2383–8. PMID 23801. rohypnol. [본문으로]
  5. Vermeeren A. (2004). "Residual effects of hypnotics: epidemiology and clinical implications". CNS Drugs. 18 (5): 297–328. doi:10.2165/00023210-200418050-00003. PMID 15089115 [본문으로]
  6. Hesse LM, Venkatakrishnan K, von Moltke LL, Shader RI, Greenblatt DJ (February 1, 2001). "CYP3A4 Is the Major CYP Isoform Mediating the in Vitro Hydroxylation and Demethylation of Flunitrazepam".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29 (2): 133–40. PMID 11159802. [본문으로]
  7. FLUNITRAZEPAM METABOLISM BY CYTOCHROME P450S 2C19 AND 3A4, Departments of Pharmacology (T.K., U.B., R.F.T., E.M.S.), Psychiatry (E.M.S.), and Medicine (E.M.S.), Sunnybrook and Women’s College Health Sciences Center (E.M.S.), the Center for Addiction and Mental Health (T.K., U.B., R.F.T., E.M.S.) and Faculty of Pharmacy (U.B.),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and Department of Medicinal Chemistry (R.L.H., A.E.R.),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shington, 2000 [본문으로]
  8. Alexander B, Perry PJ. Detoxification from benzodiazepines: schedules and strategies. J Subst Abuse Treat 1991;8:9-17 그리고, Ashton H.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enzodiazepine dependence. Curr Opin Psychiatry 2005;18:249-255.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