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 교내활동/[청운지지] 시사 토론 동아리

[청운지지] II/III. 첫 번째 활동

첫 번째 활동을 하며...


이번 활동은 무려 1달만에 다시 재개한 활동이다. 2월달에 모 팀원이 한 달 간 진행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이렇게 오늘 재개했다. 다행스럽게도 3월달엔 일요일이 5번이나 있어서 오늘 하루는 2월달에 못했던 리서치를 간략하게 조사하고, 3월달 팀을 정할 수 있었다.




2월달 활동은 리서치 활동을 하고 그 내용을 공유하는 것으로 정했다.






팀 정하기


저번이랑 똑같이 사다리게임으로 정했다. (사다리 게임 클릭 시 링크 이동)


2월달 팀이다.




3월달 팀이다.





2월달 활동하



성(김서진, 유시연): 본 의회는 국가가 시민권이 없는 이주 노동자들이 지방 선거와 총선에서 투표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반대(배유나, 차지민)본 의회는 국가가 시민권이 없는 이주 노동자들이 지방 선거와 총선에서 투표하는 것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시간 자체가 촉박해 한국어로 조사한 자료 내용을 공유했다.



찬성 (출처 하이퍼링크로 기재)




1. 선민사상, 민족주의

힐러리 vs. 트럼프: 유권자의 60% 이민정책이 대선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대답.

 ┕55세 이상 미국인의 75% 이상이 백인이고, 이들이 트럼프를 중요 지지단체다.


트럼프의 이민정책 → 이주노동자들에게 투표권 주지 X.

힐러리의 이민정책 → 불법체류자들의 인간적 가치 / 불법체류자를 시민권자로.

└ 이유: 세금납부를 하고 있어 경제도움. (옹호 법안 제출)


이민정책 = 폭력을 피해나온 불법체류자들에 대한 추방 끝 요구, 이민 변호자 자금↑



2. 이주노동자들도 지방선거와 총선 결과에 따른 정책의 영향을 받을 것이 분명한데 그들에게 투표권을 주지 않는 것을 논리에 맞지 않는다.

 └ 이유→힐러리&트럼프의 공약.


미국의 이주노동자들은 누가 대통령이 되는 가에 큰 영향을 받을 것임.



3. 투표권을 준다는 것은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주노동자는 노동자, 소비자로서 실질적인 한국 사회의 구성원이다.

└소비를 통한 간접 세금. 인간이 가지는 천부적인 권리.


▶정주외국인의 참정권 인정의 문제는 폐쇄적 국민주권을 넘어 보편적 인권을 지향하는 헌법적 과제의 첫 걸음임.





반대


1. 상당수의 이주 노동자들의 투표를 보장하기에는 금전적인 한계가 있다.


- 불법체류자 수 통계자료


- 불법체류자 추이 변동 (급증)

   └"불법체류자가 1년도 되지 않아 상승폭이 두 배 넘게 커졌다."


- 투표 비용 조사 (국내)




2. 투표권을 보장해주면 필연적으로 불법체류자가 급증할 것이며, 그에 따른 범죄 증가 등 사회적 혼란을 야기한다. 


- 불법 체류자들의 범죄 지능화, 조직화 사례


- 집단 거주하는 조선족, 시민들의 불만과 공포 증가




3. 신원이 없는 불법체류자들에게 어떻게 투표권을 줄 것인가?


4. 불법체류자들에게 투표권을 주려면 여러 복지 제도를 마련해야 하며 그에 따른 절차가 복잡하다. 


- 입법예고 절차




5. 불법체류자들에게 투표권을 징수하는것이 과연 불법 체류자 문제 완화에 기여하는가? 불법체류자들이 존재하는 근본적인 문제 (금전, 전쟁 등) 를 해결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6. 투표권 징수 등의 불법 체류자 옹호 정책을 펼치면 불법 체류자들의 모국 입장에서는 환영할 수가 없다. (군사력, 노동력 하락 등) 이는 국제적인 문제가 될 수도 있다.